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

청년도약계좌 가입,조건,신청 방법 까지

by JJongLee 2025. 7. 16.

💰 청년도약계좌, 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?

2025년 기준 요약 정리


✅ 이 글은 이런 사람에게 도움이 됩니다

  • “청년도약계좌 뉴스 봤는데 정확히 뭔지 모르겠다”
  • “나도 신청 가능한지 간단하게 알고 싶다”
  • “지원 조건, 금액, 신청 방법만 빠르게 확인하고 싶다”

📌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부지원 금융상품
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 가능,
정부가 매칭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더해주는 계좌

  • 가입 기간: 5년 (60개월)
  • 총 지원 한도: 정부기여금 최대 3.3백만 원 + 비과세 혜택
  • 운영기관: 서민금융진흥원 / 취급은행 다수
  • 지원 목적: 청년의 자립 기반 마련

🧾 지원 자격 요약

아래 ①~④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

조건설명
① 나이 신청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 (군필자: 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인정)
② 소득 총급여 7,500만원 이하 (종합소득자는 6,300만원 이하)
③ 가구 소득 중위소득 250% 이하 (4인 가구 기준 약 1,480만 원/월 이하 수준)
④ 금융재산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닐 것 (이자·배당 연 2천만 원 이하)
 

✅ 단, 소득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‘전년도 소득’으로 인정될 수 있음


💳 상품 조건 요약

항목내용
납입 방식 매월 자유납입 (최대 월 70만 원까지)
가입 기간 5년 만기 자유적립식
이자지급 만기 일시 지급 + 이자 비과세 혜택
지원 내용 정부기여금 + 은행이자 + 저소득층 우대금리
금리 비교 은행연합회 비교 페이지 제공: 금리 비교 바로가기
 

📝 신청 방법

📍 어디서?

  • 운영 기관: 서민금융진흥원
  • 접수처: 청년도약계좌 전용 앱 or 취급은행 앱

📍 언제?

📍 어떻게?

  • 취급은행 앱(예: 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 등)을 통해 비대면 가입 가능
  • 가입 가능 여부 확인 → 신청서 제출 → 계좌 개설
  • 가입 신청 후 실제 개설까지 최대 7일 소요

🧠 이런 사람이라면 해당 가능성 높음

  • 직장 다니는 20~30대 청년
  • 연봉 7,000만원 이하
  • 부모님과 따로 살거나 독립 생활 중
  • 재산은 많지 않지만 매달 30만 원 이상 저축 가능

⚠️ 주의할 점

내용설명
수급 기준은 직전 과세연도 기준 소득이 없어도 인정 시기 따라 가입 가능할 수 있음
중도 해지 시 혜택 제한 만기 전에 해지하면 정부지원금 못 받을 수 있음
소득·재산 조건 매년 확인 자격이 유지되지 않으면 탈락될 수 있음

 

 

🧾 덧붙임: 청년금융컨설팅 서비스도 함께 신청 가능

  •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,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무료 재무상담 가능
  • 자산·소득·신용·부채 진단 → 금융 컨설팅 제공
  • 신청은 청년금융컨설팅 바로가기

✅ 정리
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직접 자산 형성을 돕는 제도입니다.
단, 가입조건이 꽤 복잡하므로 사전 자격 확인은 필수입니다.
매달 초마다 신청 가능하니, 본인의 소득·연령 조건을 맞춰보고
가능하다면 빨리 가입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.